지원자 김성현
안녕하세요!

저는 유형의 물건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을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.
이 과정에서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도달해야 하는 문서, 자료, 데이터의 표준화 작업에도 큰 흥미를 느끼고 있습니다.

아직 국제 물류에 대한 도메인 지식은 부족하지만,
혼자서 배울 수 있는 부분은 스스로 학습하고,
선배님들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은 겸손한 자세로 배우고자 합니다.

긍정적인 검토 부탁드립니다.
감사합니다!
주식회사 유비케어
2024.04 ~ 재직중
매니저
서비스 제로 사업 - IT 개발 본부
실시간로그수집BeatsLogstashKafkaAzure Blob Storage데이터레이크REST APIASP.NET COREC#.NETMongoDB
목표
서비스에 낭비되는 비용을 제거(Zero)
상황
  • 의사랑, 유팜, 키오스크 등 회사 핵심 제품군이 쌓던 로그를 병/의원 내에 보관
  • 이슈 발생 시 병/의원 허락하에 일정 조율 후 원격 로그 수집, 평균 3일 이상 소요
행동
  • Beats, Logstash를 이용하여 실시간 로그 수집 및 Kafka 적재
  • 하루 약 400GB 로그를 데이터베이스에 배치 처리, 장기 보관 로그는 청크 로드 후 블롭 스토리지로 마이그레이션
  • 웹 서비스로 필요한 로그에 즉시 접근 가능하게 개선
결과
  • 병/의원과 고객팀의 일정 조율 시간 제거에 기여
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- 정보전략유닛
데이터레이크KafkaMicrosoft SQL Server.NETREST APIC#ASP.NET CORE
목표
여러 서비스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활용성 향상
상황
  • 전사 서비스 현황 파악이 어렵고, 비슷한 성격의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가 중복 존재
  • 서비스 간 참조, 링크 데이터베이스 간 참조 관계가 복잡하고 한 곳에 문제가 생기면 연쇄적으로 문제 발생
  • SOAP, .NET Framework 3 기반 데이터 수집의 기술 부채로 지속 가능성 저하
행동
  • 유관 부서 프로젝트 인수, .NET 8 기반 REST API로 마이그레이션 후 인계
  • MS-SQL 링크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제거하기 위해 Kafka 도입, 링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있는 오브젝트 탐색 후 Kafka로 공유
  • Kafka 활용 장려 위해 전사 개발자 80명 대상 Kafka 세미나 진행
결과
  • 데이터 수집에 사용되는 API가 REST API로 변경되면서 회사 내/외부 개발 편의성 향상
  • 공유 데이터는 Kafka Streams나 KSQL로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데이터 활용성 향상
  • 원본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곳이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이 없음.
LLM 기반 업무 지원 강화 AI 에이전트 - 제품인프라개발팀
LLMOpenAIFunction CallingC#.NETASP.NET COREMicrosoft GraphAzureGitHubWebhook자동화
목표
제품 품질 개선과 업무 효율화
상황
  • 클라우드 결재 기안 작성 시 리소스 정보 문의에 많은 시간을 소요
  • 여러 개발 부서에 공통 적용 가능한 품질 관리 필요성 대두
행동
  • Azure OpenAI 서비스의 LLM과 Function Calling으로 AI 에이전트 구축
  • Git Repository에 Commit 발생 시 Webhook으로 에이전트에게 코드 리뷰 요청
  • 전자 결재 양식 자동 생성, Microsoft Graph API로 사원/부서 정보 연동
  • Azure Resource Manager로 리소스 정보 즉시 조회
결과
  • 자동으로 코드 리뷰를 진행하면서 최소 품질 관리 수준 향상
  • 리소스 정보를 즉시 조회할 수 있게 되면서 결재 작성 문의 시간 단축
(주)상상소프트
2020.04 ~ 2023.01
산업기능요원대리
배포 파이프라인 구축
AWS EKSDockerKubernetesArgoCDGitOpsAmazon ECRCI/CD
목표
빠른 배포 주기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
상황
  • 수동 빌드 및 배포로 신속한 배포 어려움, 롤백 시 치명적
  • 배포 과정이 어려워 배포 가능한 인원이 제한적
행동
  • AWS EC2 리눅스 서비스에서 Docker, Kubernetes로 마이그레이션
  • Git Repository의 변경 사항을 Webhook을 통해 감지 후 자동으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고 Amazon ECR에 저장하는 파이프라인 구성
  •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는 매니페스트 Git Repository와 ArgoCD를 연동하여, 서비스 변경 사항을 감지 후 자동으로 배포되도록 구성
결과
  • 매니페스트 Git Repository로 배포를 진행하게 되면서 배포 이력과 권한 관리, 롤백이 간편해짐
  • 투명하고 일관된 배포 환경으로 권한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기능을 배포할 수 있게 되었음
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애 대응 프로세스
SentrySlackRedmine모니터링장애대응자동알림
목표
신속한 장애 대응과 장애 상황의 투명성 확보
상황
  • 모니터링 시스템 부재로 장애 탐지 지연
  • 장애 상황 공유가 채팅/전화로 휘발됨
  • 장애 탐지와 전파를 사람이 직접 하였기 때문에 문제 상황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여 다시 확인하고 전파하는 일이 빈번
행동
  • 장애 탐지, 전파, 복구 단계로 프로세스 수립
  • 사람이 장애를 24시간 탐지하기란 어려우므로 모니터링 시스템 Sentry를 도입
  • Sentry와 Slack을 연동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때 프로젝트 전용 채널로 즉시 알림
  • 프로젝트 구성원이 신속히 문제 상황을 인지하여 확인된 내용만 Redmine에 기록 후 전파
  • 장애 복구 담당자는 전파된 내용과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 복구 진행
결과
  • 프로세스를 정립하면서 신속한 장애 대응이 가능해졌고, 장애 상황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
회사 핵심 제품 호텔 업무 협업 도구 풀스택 개발
C#.NETASP.NET COREVue.jsFlutterDockerJenkinsKubernetesAWSMongoDB
기타
  • SQL 함수를 이용하여 검색 응답 속도 4,000ms에서 300ms 수준으로 개선
이월드 테마파크 예매 서비스 외 다양한 외주 프로젝트 완료
C#.NETASP.NET COREVue.jsFlutterMySQL
기타
  • CRUD 페이지 동적 렌더링 및 동적 필터로 1주일 안에 만들어야하는 관리자 페이지를 3일 만에 구현
  • ISMS 모의해킹 대응
(주)삼문시스템
2019.02 ~ 2019.11
사원
군부대 PC 통제 클라이언트 개발
Electron.jsTypescript
기타
  • 개발 과정에서 직접 부대에 방문하여 요구 사항을 수렴하고 설치 및 테스트 진행